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info 2020. 12. 21. 23:36
    반응형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서 서울에서 쭉 자라왔지만 회사가 지방에 있는 탓에 벌써 5년째 자취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회사 기숙사에서 자취를 시작했는데 아무래도 기숙사라는게 불편한 점이 많다보니 결국에는 매달 월세를 내면서 작은 빌라에서 자취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5년 동안 지불한 월세만 해도 어마어마하게 큰 돈인데 연말정산 때 공제 헤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올해가 되어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알아보니까 지난 5년간 납부한 월세까지는 모두 공제 혜택을 제공해준다고 하니 이 기회를 절대로 놓칠수가 없었는데요. 오늘은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과 필요 서류, 신청 방법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한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저도 월세로 살고 있는 입장이지만 현재 우리나라 전체 국민중의 44% 정도는 전세 또는 월세로 살고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자가 보유 비율이 낮은 편이기도 하고 저와 같은 1인 가구가 그만큼 많이 늘어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한 것 같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탓에 받을 수 있었던 세액공제를 한번도 신청하지 못했는데요. 드디어 자취 5년만에 처음으로 연말정산 세액공제 신청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연말정산 환급액 계산기는 본문 하단에 첨부하였습니다.

    ※ 본문의 월세 세득공제 받는 방법을 천천히 읽어보신 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거 형태는 상관 없어요.

    원룸, 투룸, 빌라, 아파트, 고시원,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 등 주거 형태와는 전혀 무관합니다. 또 국민 임대 주택(LH), 행복 주택, 민간 임대 등의 주거 조건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그냥 현재 월세를 살고 있다면 모두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따라해보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 입니다. 그런데 정답부터 말하자면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현재 월 30만원짜리 소형 빌라에 거주하고 있는데 1년에 납부하는 돈만 해도 360만원입니다. 그런데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알고 연말정산 때 공제를 신청하면 1년간 총 납부한 금액의 10% ~ 12%를 세액공제로 돌려줍니다. 그냥 신청만 하면 저절로 공제 혜택을 주는 것 입니다.

     

     

    집주인이 싫어하면 어떻게 하나요?

    간혹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집주인이 싫어할까봐 신청을 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공제 신청 자체는 집주인의 승락 여부와는 전혀 무관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집주인과의 관계가 껄끄러워질까봐 조금이라도 걱정이 되는 분이라면 그래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과거 5년간의 월세 납부액에 대해 경정청구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중에 이사를 가시고 난 후에 신청하셔도 됩니다.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세액공제란 납세 의무자 당사자에게 결정된 세액에서 공제 항목 만큼의 세금을 빼주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연말정산 때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13월의 월급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연말정산 때 한푼이라도 더 돌려받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세액공제 한도는?

    월세 납부액에 대한 세액 공제의 한도는 최대 750만원입니다. 그리고 올해 납부한 금액의 총 10%를 연말정산 때 공제해줍니다. 또 자신의 연봉이 5500만원 이하인 근로자의 경우에는 10%가 아닌 12%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알고 따라한다면 10% ~ 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조금 용어가 어려울 수도 있는데 오늘 알아보는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의 정확한 기준은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 입니다. 쉽게 말하면 소득공제는 소득세 중 일부에 대해 공제를 해주는 것인데 세액 공제보다 혜택이 적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중복으로 받을 수 없습니다. 세액공제는 확정된 세액 자체가 감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유리합니다.

     

     

     

     

     

    세액공제 받는 대상과 기준은?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의 기준은 총 5가지입니다. 기본적인 신청 대상은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만약 가구주가 공제를 신청하지 않았다면 가구원이 대신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자신의 연봉이 7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 무주택자
    • 연봉이 7000만원 이하인 사람 (종합소득 금액은 6000만원 이하)
    • 거주하는 곳의 전용면적이 85㎡ 이하
    • 임대차 계약서의 주소지와 주민등록의 주소지가 같아야 함.
    • 임대차 계약서의 계약자가 근로자 본인이어야 함. (배우자 포함)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현재 알아보고 있는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에 필요한 서류는 매우 간단합니다. 임대차 계약서, 주민등록등본, 월세 입금 내역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이 서류를 준비해서 현재 재직중인 직장에 연말정산 때 제출하면 됩니다.

    • 임대차 계약서 사본 1장 (이사를 했을 경우 이전에 거주하던 곳의 임대차 계약서 1장 포함)
    • 주민등록등본 (이사를 했을 경우 주소 이전 내역 포함)
    • 월세 납부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무통장 입금증, 계좌 이체 내역 등)

     

     

     

     

     

    그래서 얼마를 돌려 받는 것인가요?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을 처음 읽어보시는 분들은 '이게 무슨 소리인가?' 라는 생각을 하실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연말정산 상황이나 공제 신청 내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저의 조건을 기준으로 간단하게 딱 세액공제 받는 내역만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저는 총 납부 월세액이 세액공제 한도인 750만원이 초과되지 않고 연봉도 5000만원 이하이므로, 연말정산 때 총 12%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1달 월세 : 30만원 (1년 360만원)
    • 360만원의 12% = 432,000원
    • 총 세액 공제액 (환급액) : 432,000원

     

     

     

     

     

    놓치면 아까운 혜택이에요.

    오늘 본문을 읽어보시면서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셨으니 올해는 꼭 세액공제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앞서 계산해드린 것처럼 몇가지 서류만 준비해서 회사에 제출하기만 하면 아주 쏠쏠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귀찮다고 신청을 안하기에는 제공되는 혜택이 너무 쏠쏠합니다.

     

     

     

     


    연말정산 환급액 계산기 : 바로가기

     


     

     

     

     

     

     

    국민임대 주택은 납부 내역을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

    현재 국민임대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면 일일히 은행에 방문해서 납부 내역의 발급을 요청할 필요는 없습니다. LH 청약센터 홈페이지에 방문하신 후 고객서비스 - 계약정보조회에서 과거의 납부 내역을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인쇄가 가능한 프린터를 PC에 연결하여야 합니다.

     

     

     

     

     

     

    월세 내는 직장인 연말정산 절세 방법

    [비즈앤택스 제공] 월세도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으면 연말정산 시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런데 월세 세액공제를 받은 경우에는 신용카드 등 ...

    sbiznews.com

    반응형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 시험과목  (0) 2020.12.25
    멜론 해지방법  (0) 2020.12.24
    넷플릭스 영화 추천  (0) 2020.12.21
    퇴직금 중간정산 요건  (0) 2020.12.19
    페이스북 탈퇴  (0) 2020.12.18

    댓글 0

Designed by Tistory.